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492

에너지 자립마을의 전망은? 에너지 자립마을의 전망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박정우, 16기 배영은, 16기 홍인설, 17기 노혜윤, 17기 심우빈 에너지 자립마을? 지난 2011년에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폭발 사고로 한국은 원전에 대한 위험성을 절실히 느꼈다. 그 이후 정부는 탈원전을 추진하여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을 늘리는 에너지 전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지자체 또한 에너지 전환에 노력을 가하고 있다. 원전에 이상이 생겨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생긴다고 원전 가동을 바로 멈출 수 없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에너지 자립마을' 이다. 에너지 자립마을은 마을 공동체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생산을 늘려 에너지 자립도를 높인 마을이다. 지역의 특성.. 2020. 2. 24.
이산화탄소로 휘발유를 만들 수 있다? 이산화탄소로 휘발유를 만들 수 있다? 16기 문정호 이 기사를 작성하는 현시점이 1월이라는 점을 생각했을 때 올해 겨울은 예전에 비해 덜 춥다고 느낀 적이 많았다. 눈이 내려야 하는 1월에 비가 내리는 모습을 보면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주요 온실가스로 손꼽히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난 2017년 기준으로 6억 8천여 톤에 다다르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260여 년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50% 가까이 증가했다. 주로 화력발전이나 차량 운행같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과정에서 배출돼 줄이는 게 쉽지 않은 현 상황에서, 한국화학연구원의 전기원·김석기 박사팀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출처 : 한국화학연구원 바로 이산화탄소를 휘발.. 2020. 2. 24.
2019 신재생에너지 돌아보기 2019 신재생에너지 돌아보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김건형, 16기 김미림, 16기 이서준 단원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하지만 지난 한 해 동안 관련 산업, 정책, 행사에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기억하는 이들은 드물다. 신재생에너지가 어떻게 점차 우리 생활에 밀접해지는지 관심을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2019년 동안 있었던 재생에너지 및 기후 관련 주요 이슈들에 대하여 분기별로 알아보자. 세계적인 움직임, RE100 2019년 4월 11일 Apple은 협력 업체 44 곳과 100% 청정 에너지에 기반한 Apple 제품 생산을 약속하였다고 발표했다. 본사는 물론 전 세계 곳곳에 있는 애플스토어나 데이터 센터에 제공되는 전력을 모두 태양광과 풍력 등을 통해 공급하는 규모.. 2020. 1. 27.
바이오 에너지 VS 폐기물 에너지, 왜 비재생폐기물 에너지는 더 이상 재생에너지가 아닌가? 바이오 에너지 VS 폐기물 에너지, 왜 비재생폐기물 에너지는 더 이상 재생에너지가 아닌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이서준, 전예지, 배영은 단원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이 2019년 10월 1일에 시행이 되면서 폐기물에너지의 재생에너지로서의 정의가 변하였다. “비재생폐기물”로부터 생산된 것은 제외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폐기물 에너지 만을 재생에너지로 인정하게 되었다. 바이오가스, 목제 팰릿처럼 폐기물을 사용한 바이오 에너지도 재생에너지에 제외가 된 것이 아니냐고 오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재생폐기물과 비재생폐기물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를 분리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재생폐기물과 비재생폐기물이란? 가연성이 있고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 2019. 12. 25.
"복잡한 국내 RPS 시장, 경매시장 통합 필요" 기후변화센터·전력포럼 'RPS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세미나 개최 "복잡한 국내 RPS 시장, 경매시장 통합 필요" 기후변화센터·전력포럼 'RPS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세미나 개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이한주 윤재성 16기 이서준 단원 기후변화센터와 전력포럼이 공동 주최한 19차 전력포럼 ‘RPS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이 11월 8일 엘타워에서 개최됐다. RPS 제도는 국가가 공급의무자에게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할당하고, 공급의무자가 자체생산 또는 구매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는 제도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2012년부터 RPS 제도를 시행했으나 여러 문제들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날 모인 전문가들은 RPS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은 뒤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개선방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내 RPS 시장운영, 비효율적이고 불확실해.. 2019. 12. 25.
수요자원 : 아끼는 것이 최고의 발전 수요자원 : 아끼는 것이 최고의 발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박정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양진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최명근 DR(Demand response, 수요반응자원) 이란? 전기를 아껴 수익을 낸다. 이 말은 수요자원 거래시장을 표현한 것이다. 한마디로 ‘소비자들이 아낀 전기를 되팔 수 있는 전력거래시장’을 말한다. 공장이나 대형마트, 빌딩 등 전력을 아낄 수 있는 기관 및 일반 소비자가 기존 사용량보다 적게 전기를 쓰기로 중개업체(수요관리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뒤 수요관리사업자가 아낀 전기를 모아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수익을 나누는 방식이다. 이는 전력거래시간동안 의무적으로 감축해야 할 용량에 대하여 실시간 급전지시 이행의무를 지고 하루 전 시장에 자발적으로 입찰을 할 .. 2019. 12. 25.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돕기 위해 나타난 PCM ?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돕기 위해 나타난 PCM ?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15기 나혜인 열을 저장하기 위한 방식으로 현열 저장, 잠열 저장, 화학 반응 열 저장 세 가지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현열 저장기술은 물체의 상태 변화 없이 온도 변화로 나타나는 열을 저장하는 기술로, 냉·온수 보온 저장 탱크가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잠열 저장기술은 온도 변화 없이 상태변화에 따라 축열(열 저장), 방열(열 방출) 원리를 활용하여 열을 저장하는 기술이며 빙축열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상전이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전이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 2019. 12. 25.
재생에너지의 보고, 베트남의 에너지전환 재생에너지의 보고, 베트남의 에너지전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양진호 우리는 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 국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원천이 되는 일사량, 수력, 풍력 등의 자원이 풍부하여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잠재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중 베트남에 관하여 알아보자. [베트남 태양광 발전소] 출처 : 글로벌이코노믹 베트남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베트남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큰 잠재력은 잘 보존된 자연환경, 기후여건 등도 기여를 했지만 무엇보다 베트남 당국의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적극적인 수용태도가 크다고 본다. 베트남은 2016년 '제7차 베트남전력개발계획'에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전체 대비 21%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의 활성화를 위해 의무할당제, .. 2019.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