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492

[세미나 탐방]에너지 클라우드_친환경 분산자원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 02 에너지 클라우드_친환경 분산자원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 02 8기 신지민 14기 이한주 15기 김성렬 전 세계 기업이 RE100 (Renewable Energy 100%) 캠페인에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전력중개사업자 협의회가 주최한 ‘에너지 클라우드: 친환경 분산자원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세미나가 4월 30일 서울시 성동구 헤이그라운드에서 열렸다. RE100 캠페인은 기업이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로 대체하겠다는 움직임을 뜻한다. [사진 1. 에너지클라우드 세미나 참가 패널] 출처 :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본 행사에서는 해줌, 지속가능기업협의회, 전력거래소, 신성이앤지, 인코어드 테크놀러지, 그린피스 등의 12개 기관 및 기업이 구성원으로 참여했다.. 2019. 5. 15.
[세미나 탐방]에너지 클라우드_친환경 분산자원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 01 에너지 클라우드_친환경 분산자원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 01 8기 신지민 14기 이한주 15기 김성렬 전 세계 기업이 RE100 (Renewable Energy 100%) 캠페인에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전력중개사업자 협의회가 주최한 ‘에너지 클라우드: 친환경 분산자원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세미나가 4월 30일 서울시 성동구 헤이그라운드에서 열렸다. RE100 캠페인은 기업이 필요한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로 대체하겠다는 움직임을 뜻한다. [사진 1. 에너지클라우드 세미나 참가 패널] 출처 :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본 행사에서는 해줌, 지속가능기업협의회, 전력거래소, 신성이엔지, 인코어드 테크놀러지, 그린피스 등의 12개 기관 및 기업이 구성원으로 참여했다.. 2019. 5. 15.
전기 대신 팔아드립니다!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에 관하여 전기 대신 팔아드립니다!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에 관하여 15기 양진호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은 새로운 에너지 사업의 하나로 2016년 도입하기로 했던 소규모 전력중개사업 관련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2018년 6월 승인되었고, 법 시행시점인 12월에 시행령 등 하위법령 정비가 완료되었다. 그리고 올해 1월 한국전력거래소를 통해 실증사업을 거친 뒤 2월부터 본격적으로 전력중개시장이 개장하였다. [표1. 소규모 전력중개사업]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이하 중개사업)이란 [표1]의 내용과 같이 태양광 등 소규모 전력자원을 소규모 전력중개사업자(이하 중개사업자)가 모집하고 전력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사업이다. 중개사업자는 소규모 전력자원 보유자를 대신해 생산전력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2019. 5. 6.
환경과 전기 요금 사이, 환경급전 [환경과 전기 요금 사이, 환경급전] 14기 이한주, 15기 김수연 출처 : 이한주 재난 수준의 미세먼지가 이어지면서 미세먼지 배출원 중 하나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서둘러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19년 1월 21일, 정부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석탄발전설비 축소,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하는 세부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주요 내용으로는 신규 석탄발전소 진입 금지, 석탄발전소 6기의 LNG 발전소 전환,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 발전소 10기의 조기 폐쇄(22년까지), 미세먼지 많은 봄철에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 가동 중단 그리고 환경설비 투자 확대가 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는 제8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한층 강화된 석탄발전 감축 방안 확정, 시행 중이며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석.. 2019. 4. 13.
제 3차 에너지기본계획 정책 과제 속 수요관리, 해외 정책은? 제 3차 에너지기본계획 정책 과제 속 수요관리, 해외 정책은? 에너지안보 강화와 에너지 효율향상 및 온실가스 감축을 방법으로 에너지 수요관리가 이야기 되고 있다. 국제 에너지 기구(IEA)에서는 에너지 수요관리를 첫 번째 연료로 간주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국에서도 수요관리를 에너지 절감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저탄소 및 고효율 에너지 구조로의 전환 등을 배경으로 중요시 여겨지고 있으며, 최근 제 3차 에너지기본계획 워킹그룹의 보고에도 언급되었다. 이렇게 국내외에서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수요관리에 대해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해외 각국의 에너지 수요관리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최근 발표된 제 3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정책 과제 중 하나로.. 2019. 3. 5.
열전이 뭐야? :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유용한 에너지 원천 열전이 뭐야? :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유용한 에너지 원천 [그림1 : Key Trends Driving Innovation] 출처 : CYMBET Corporation “Energy Harvesting for Powering WSN Symposia” 최근 CYMBET Corporation이 주최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관련 학회에서 혁신 기술을 이끄는 중요한 트렌드 6가지를 꼽았다. 그 중 하나로 친환경적이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가 언급되었다. 위 그림을 보면 친환경, 신재생에너지가 혁신 기술의 트렌드 중 하나로 언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좋은 제품을 위해 트렌드의 융합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즉, 하나의 기술로 하나의 완성품을 만드는 것이 아닌 하나의 기술과 다른 여러 기술들.. 2019. 3. 2.
먼나라 이웃나라, 탈원전편 먼나라 이웃나라, 탈원전편 [사진 1. 대만의 원자력발전소]출처 : 동아사이언스 화석연료를 제외한 에너지들 중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하나를 꼽자면 원자력 발전이다. 이는 우리나라에 생산되는 전력의 30%를 차지할 만큼 에너지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부존자원이 부족하고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지난 30여 년간 값싸고 질 좋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원자력 발전은 국가 산업의 원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감수해야하는 것이 많은 에너지이기도 하다. 전 세계적으로 원전 중대 사고가 3번 있었다. 미국 스리마일 원전사고, 구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이다. 이 사고들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몇몇 나라에서는 원전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일.. 2019. 2. 7.
Good Bye 유선, Welcome to 무선! [사진 1. 무선충전기]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수는 증가하고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가정, 사무실 콘센트에 꽂혀 있는 여러 전선들은 이제 더 이상 정리할 수 없을 만큼 꼬여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무선충전기’이다. 무선 충전기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기만 하면 충전이 시작된다. 스마트폰 외의 다른 기기들 또한 충전이 가능하다. 이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전선들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모든 전자기기들이 무선화될 수 있는 시대, 즉 콘센트 없는 세상이 실현될 수 있을까? 지금부터 이러한 세상을 실현시켜 줄 ‘무선전력전송’ 기술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한다. 무선전력전송.. 2019.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