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492

지구가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된다면? 지구가 돌이킬 수 없이 악화된다면? 기후변화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전세계는 유엔기후협약(UNFCCC),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 교토의정서 등 다양한 회의와 조직이 활성화 되어있다. 보고서를 제출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실행하지 못하면 벌금을 부과하는 방식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나은 대책이지만, 이와같은 정치적 노력이 아닌 공학적으로 해결해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살짝은 말도 안될 수 있음에 유의하며,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추기 위한 지구공학(Geoengineering)기술을 소개한다. *지구공학이란?지구를 리모델링한다는 뜻으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의도적이고 큰 규모로 인간이 개입하여 환경을 조작하는 기술이다. *지구공학의 필요성?[사진1.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빙하가 호.. 2018. 12. 18.
우리는 왜 신재생에너지를 원하는가 우리는 왜 신재생에너지를 원하는가 신재생에너지란 신재생에너지란 화석원료와 원자력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로서 친환경 에너지 등으로 석탄 석유 원자력 천연가스가 아닌 11개의 분야를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로 규정하고 있다. 신에너지로는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재생에너지로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 에너지로 구분되어 이 모든 것들을 포함한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구분하고 있다. [그림 1. 신재생에너지]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가 왜 필요한가 우리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화석연료 같은 경우 2017년 에너지 발전량 중 66.9%에 해당하고 있으며 원자력발전 같은 경우는 26.8%, 신에너.. 2018. 10. 19.
3020정책에 바이오에너지는 외않되??? 3020정책에 바이오 에너지는 외않되???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를 항목별로 살펴본 결과, 폐기물에너지가 47%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수력에너지는 12.7%, 태양에너지 10.1%, 풍력에너지 9.6%, 바이오 에너지 9.2%, 연료전지 5.7%, IGCC 3.8%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폐기물에너지는 국제에너지기구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인정하고 있지 않아서 국제에너지기구의 기준을 감안해 이번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에서도 폐기물에너지를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결국 2018년 5월 1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PS) 개선 내용을 발표했고 이 중 목재칩, 목재펠릿, 바이오매스 고형폐기물 (Bi.. 2018. 8. 9.
REC 가중치, 하나부터 열까지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를 위해서 기술 개발도 굉장히 중요하지만, 더욱 빠른 보급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도의 확보도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중요하게 시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이다. 이는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이다. 국내에서는 2012년 1일부터 시행되어 대형 발전소를 공급의무자로 지정해 발전량의 일정 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도록 의무화했다. 공급의무자로 지정된 발전사업자들은 해당된 비율만큼 신재생에너지를 직접 생산하거나 만약 부족하게 된다면 REC(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Renewable Energy Certific.. 2018. 6. 18.
미세먼지 1차 해결책: 옥내저탄장 미세먼지 1차 해결책: 옥내저탄장 국내 환경정책에 맞추어 국내 발전소 회사들은 전력 생산 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비산먼지를 줄이는 것이다. 비산먼지는 야적장 등 일정한 배출구(굴뚝) 없이 대기 중에 직접 배출되는 먼지를 말한다. 특히 화력 발전소의 주원료인 석탄은 대부분 외부에 저탄장에 저장하기 때문에 비산먼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로 주민들의 환경문제와 인근 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친다. 석탄을 저장하는데 있어 이런 필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와 국내 화력 발전소들은 옥내 저탄장을 설치하여 해결하는 중이다. 「표 1. 전국미세먼지 배출 현황」 출처: 워터저널 여러 화력 발전소 중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본부에 설치된 옥내 저탄장이 국내 최대 규.. 2018. 5. 17.
< 인천 업사이클 에코 센터 > 에너지와 자원을 한번에 잡는다 에너지와 자원을 한번에 잡는다 그림 1. 호모오일리쿠스 호모오일리쿠스(Homo Oilicus); 석유를 입고, 먹고, 쓰는 것에 중독되어 있는 현대인을 지칭. 석유 문명에 의존하는 현대인류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력은 실로 엄청나다. 지구는 쓰레기 더미로 채워져 생태 황무지가 되고 있으며, ‘지구 용량초과의 날’은 점점 앞당겨지고 있다. 하루 빨리 화석연료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생산ᆞ소비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해야 한다. 에너지 자립과 자원순환 측면의 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인천 업사이클 에코 센터’를 다녀왔다. 1. 에코센터 소개 그림 2. 인천 업사이클 에코센터 전경 출처 : 일요신문 인천 업사이클 에코센터(이하 에코센터)는 자원순환 및 환경교육과 지속가능 생태도시 기반 .. 2018. 4. 15.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2030년을 보다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2030년을 보다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때에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우리나라는 15년을 기준으로 2년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해서 미래 전력 문제를 다루고 있다. 2017년 12월에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발표되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변하면 에너지정책과 같이 큰 틀부터 가전제품의 특징과 같은 작은 틀까지 변화한다. 향후 15년 후인 2030년의 에너지 정책은 어떤 목표를 가지고 나아가고 있는지, 제 7차 기본계획과 비교해 보았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그래프1.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출처- 파이낸셜뉴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점은 전력수급 구조를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한.. 2018. 3. 20.
당신이 사용하는 제품은 얼마나 환경적인가 -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해 당신이 사용하는 제품은 얼마나 환경적인가 -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해 1년 전 홈커밍데이 행사 진행 간 종이컵 대신 텀블러 혹은 개인 컵을 사용하는 인원에게 소정의 경품을 수여하는 이벤트를 진행했었다. 재생에너지를 표방하는 단체이기에 참신한 기획이라고 생각했고, 단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머그컵,텀블러가 종이컵보다 얼마나 친환경적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는데, 정확히 어느 항목에서 어느정도 양의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정보가 전무했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 기관 및 환경단체에서는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캠페인 등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컵(혹은 텀블러)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 추세인데, 재사용 가능한 컵은 종이컵(혹은 일회용 컵)에 비해 얼마나 친환경.. 2018.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