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기술-산업-정책492 끝을 알 수 없는 바다! - 해수의 무궁무진한 발전 올 해 여름도 폭염주의보가 끝임 없던 계절이었다. 약속을 잡을 때도 에어컨이 있는 실내는 필수였고, 햇빛 아래 서있다 보면 자연스레 바다에 가서 시원하게 수영하고 싶다는 생각이 저절로 났다. 이런 바다는 우리에게 시원함과 즐거움을 주는 존재인 동시에 다양한 먹거리도 제공한다. 이게 전부가 아니다! 이제는 에너지까지 아낌없이 나눠준다. 수력에너지, 조력에너지, 파력에너지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바닷물로 다양한 발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해수의 온도차에 의한 전력생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해수 온도차를 이용한 해수 온도차발전, 해수냉난방시스템, 나트륨을 이용한 나트륨 전지에 대해 알아보자. 1.해수 온도차발전(OTEC: Ocean Thermal Energ.. 2017. 9. 6. 에너지도 재활용! <열병합발전> 에너지도 재활용! 현재 대한민국은 환경을 위한 에너지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대표적으로 화력발전 감축, 탈원전, 신재생에너지 전력량 증대가 있다. 그런데 현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프라가 미흡하여 화력 및 원자력이 생산하는 전력량 전부를 대체할 수는 없다. 화력, 원자력을 제외한 발전 방법 중 전력 생산량, 환경문제, 에너지 효율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열병합발전이라고 생각한다. 열병합이란 무엇인가? 열병합은 전기 생산과 난방을 동시에 하여 에너지 이용률을 높이는 발전 방법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열병합발전 방법을 상세히 알기 위해 일산 열병합발전소에서 근무하시는 실무자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1. 일산 열병합발전소 발전 개략도] 출처: 일산 열병합발전소 열병합발전을 알기 위해선 먼저 복.. 2017. 9. 5. 2017 여름, 학계를 달군 에너지 기술의 혁신 2017 여름, 학계를 달군 에너지 기술의 혁신 석탄, 석유, 천연가스 같은 화석 연료가 여전히 세계 에너지 공급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지만, 미래는 바람과 태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널리 확대될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대한민국에 최근 들어선 문재인 정부는 원전 신규건설계획(6기)을 백지화하고,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미 건설 중인 5기 중에서 공정률 20%대인 신고리 5,6호기는 공론화를 통해 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이어서 문재인 정부는 내년까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원을 대폭 증가하기로 결정했으며,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67.7GW(기가와트)까지 높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국내에서도 ‘탈 원전’을 외치며 ‘지속 가능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도화 되.. 2017. 9. 5.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많은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의 의·식·주는 점점 편리해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가전제품들의 도움으로 우리 일상은 풍요로워졌다. 밥을 짓기 위해 밥솥을, 옷을 빨기 위해 세탁기를, 청소를 하기 위해 청소기를, 더위를 피하기 위해 선풍기와 에어컨을 사용하는 것처럼 우리 생활의 편의를 위한 제품들에게 부여되는 특별한 표시가 있다. 바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다. 제품을 구매할 때, 이 표시에 대해 한 번씩은 궁금증을 가진 적이 있기 마련이다. 실생활에서 보유하고 있는 여러 가전제품들에 붙어 있는 라벨을 보며 정확히 어느 정도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하는지 물음표를 던진 적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표시되는 등급이 낮을수록 에너지효율이 높을 것이다.'라는 생각에서 멈췄으며, 어떤 방식에 의해 산출된 값으로 .. 2017. 8. 11. 역(力)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압전소자! 어린이들이 신고 다니는 운동화 중에 걸을 때마다 뒤꿈치 부분에서 불빛이 번쩍번쩍 들어오는 것이 있고 나 역시도 어렸을 때 신어봤던 기억이 있다. 이러한 신발은 어떤 원리를 이용해서 만들어질까? 바로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바꿔 주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것이다. 한마디로 압전 소자 (piezoelectric effect element)는 외부로부터 압력이나 충격을 받으면 전압이 발생하는 소자이다. #압전소자란? [그림 1. 압전효과의 원리] 출처 : (CC)Mael Guennou - Titzeff at Wikipedia.org 압전 소자는 피에조라는 사람이 개발하여 피에조 전기 소자라고도 불린다. 즉, 해당 소재에 압축 또는 인장과 같은 기계적 변화를 가하면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는 1차 압전효과가 일어나고.. 2017. 7. 14. 완전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기술 로드맵 누워서 컴퓨터를 하거나 잠을 자는 사이 자동차가 나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람이 더 이상 운전에 관여할 필요도 없으며, 교통체증이나 사고 위험 또한 감수할 필요가 없다면 이상적인 이동수단일 것이다. [그림1. 미래의 이상적인 자율주행 차량 모습] 출처 : Google '자율주행' [그림2.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中 자율주행자동차의 모습] 출처 : Google '자율주행' 사실 이러한 발상은 마이너리티 리포트, 토탈리콜 등 다양한 공상과학 영화에서 보여 진 바 있으며 실제로 자동차 업계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현을 위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2020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5년 까지.. 2017. 7. 13. 한국은 탈원전에 성공할 수 있을까? 한국은 탈원전에 성공할 수 있을까? 탈원전, 탈석탄 선언한 문재인 정부 최근 미세먼지 문제,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로 인한 피폭, 오염 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과 함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세계 195개국이 온실가스 배출 감소, 기온 상승 제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협의한 2015 파리 기후협약이 작년 11월 발효됨과 더불어. 문재인 대통령은 새로운 환경 정책을 내놓았다. 새로운 정책은 바로 탈원전, 탈석탄이다. 탈석탄 정책은 미세먼지 감축 대책으로 노후화된 석탄 화력 발전소를 한시적으로 가동을 중지시키고, 폐쇄 시기도 최대한 앞당기는 등 석탄 화력발전에 대한 각종 제재를 가할 방침이다. 최근 월성 1호기를 폐쇄한 것을 시작으로 노후화된 원전의 수명 연장 금지, 신규원전 건설 .. 2017. 7. 13.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2017년 지역특화산업 활성화 지원사업(태양광 융복합 제품 시험인증 지원사업 모집 [그림1_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로고]출처: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충청남도 지역전략산업인 태양광 융복합 분야의 신제품 인증사업 지원을 통해 지역특화분야 창업 · 중소 · 벤처기업의 투자 및 시장진출 촉진과 지역 신성장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17년 지역특화산업 활성화 지원사업(태양광 융복합 제품 시험인증 지원사업)에 참가할 기업을 5월 29일부터 6월 9일까지 모집한다. 지원분야는 충청남도 지역전략산업 분야로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가 수행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역특화 지원 사업 분야 (태양광 융복합 산업 분야 , 응용제품-모듈-서비스 포괄 )이다. 지원대상은 충청남도 소재지의 창업 · 중소벤처기업 또는 사업기간 내 충청남도 소재지로 이전계획이 있는 창업자 (개인사업.. 2017. 5. 31.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