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기술-산업-정책492 환경을 생각하는 건물 - 녹색건축물 인증제도 환경을 생각하는 건물 - 녹색건축물 인증제도 현대의 환경 문제는 크게 주거와 교통문제, 폐기물과 오염, 생태적 위기, 인구급증, 자원고갈, 핵 위기 등으로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다. 대규모의 자원과 에너지수요를 유발하는 집적화된 도시는 근본적으로 비 생태적이며, 21세기 키워드로 환경과 환경문제가 제시된다. 생태적 패러다임은 자연과학 뿐만 아닌 인문과학의 이론까지 광범위하게 포함하면서 주거 생활의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20세기의 키워드가 ‘노동과 인권’ 이였다면 21세기의 키워드는 ‘환경’ 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녹색건물은 에너지 이용과 효율, 신재생에너지의 사용비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과 자원절약형이고 자연친화적인 건축물을 유도하.. 2017. 5. 12. 분석의 대표, Chromatography 분석의 대표, Chromatography 분석화학은 ‘아버지’다. 어쩌면 화학과 인류의 관계는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당시 원시인들은 어떠한 학문적 지식은 없었지만 ‘불’을 사용함으로써 최초로 ‘연소’를 목격했을 것이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연소를 비롯한 다양한 현상에 대해 정의가 이루어졌고 보일, 아보가드로 등에 의해 화학이 방대하게 발전하였다. 그와 함께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등 세분화된 분야들이 등장하여 오늘날의 화학에 이르게 되었다. 그 중 분석화학은 화학의 세부분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분석화학은 실험을 기초로 하는데 이론이 팽배하던 과학에서 실험을 통해 무언가를 탐구한다는 것은 실로 획기적이었다. 오늘 소개할 ‘크로마토그래피’도 분.. 2017. 5. 12. 세계로 퍼져나가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 세계로 퍼져나가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 [그림 1. 온실가스의 종류] 출처 : GS 칼텍스 홈페이지 인류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소비되는 에너지양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지구 온난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탄소 배출권 거래제'는 이를 위해 고안된 제도로 국내에서는 2015년 1월 12일부터 전격 개장되어 진행 중이다. 정부가 기업들에게 각자 온실가스 허용량을 부여하고, 기업들은 범위 내에서 남은 양을 매매할 수 있는 제도로, 할당량보다 배출량이 많은 기업은 배출권 거래시장에서 배출권을 구입하여야 하고, 할당량보다 배출량이 적은 기업은 배출권 판매가 가능하다. 주로 기업 내에서 자체적인 기술 개발이나 외부 감축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거래.. 2017. 3. 10. 광물로 CO2를 어떻게 잡을까? 어쩌면 생소할 수 있는 광물탄산화,CCS 지구온난화로 이상기후가 심화되고 생태계가 무너지고있다. 지구온난화를 유발시키는 많은 원인이 있지만 이산화탄소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과 같이 평균 온도 상승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산화탄소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출처 : NASA CO2 출처 : NASA CO2 오늘날에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화석연료에 많이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미 배출된 이산화탄소로 인해 지구 온난화는 계속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화석연료를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거나 대기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없애주기만 한다면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Carbon Ca.. 2017. 3. 9. EMS 기술교육세미나로 보는 기술적 사례 EMS 기술교육세미나로 보는 기술적 사례 [국내 에너지 절감 산업의 발전과 온실가스 절감을 위한 기술교육세미나] 지난 2월 21일, 한국 BEMS협회 주관으로 대성 디폴리스 세미나에서 ‘국내 에너지절감산업의 발전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교육 세미나’가 열렸다. 이 세미나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한 에너지 효율화의 새로운 정책과 방향을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후 내용은 기자단원들이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그림1.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교육 세미나가 열린 대성 디폴리스] Section #1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주요 기술 먼저 현대경제연구원 소속이신 정 민 연구위원께서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에 관해 발표하였다.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기존 3차 산업혁명의 기반은.. 2017. 3. 9.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우리나라 정책-리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우리나라 정책-리뷰 ※리뷰를 읽기 전 http://www.me.go.kr/synap/synapView.jsp?fileId=137914&fileSeq=1 를 읽는다면 잘 이해됩니다. EBS 특집기획 “기후변화,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인가”를 보면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사건들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2016년 6월 23일에 중국 장수성에 토네이도가 덮친 사건, 2016년 5월 인도에서 발생하였던 사상 최대 무더위 그리고 다른 쪽에서는 기록적인 폭우가 있었으며, 2016년 8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였고 우리나라 또한 이번 여름에 기록적인 무더위가 있었습니다. 이 사건들로 가족, 친구, 이웃들이 죽고 집, 자동차 등 우리가 .. 2016. 12. 29. 소물인터넷(IoST)을 통한 새로운 기술의 창출: 브라운백 세미나 소물인터넷(IoST)을 통한 새로운 기술의 창출: 브라운백 세미나 [그림1,2. 공학교육페스티벌 브라운백 세미나에서의 인텔코리아 박종섭 이사의 모습] 2016년 11월 10~11일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전국의 100여개 이상의 공과대학이 참가한 공학교육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11일 진행된 브라운백 세미나에서는 인텔코리아 박종섭 IoT 총괄이사와 한밭대학교 권기석 교수가 참여하여 변화하는 IoT에 대하여 “사물인터넷(IoT)은 한 번에 완성되지 않는다. 다만 다듬어지고 정교해질 뿐이다.” 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박종섭 이사는 소물인터넷(wearable)의 핵심기술에 대하여, 권기석 교수는 빅데이터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하였다. 브라운백 세미나를 통해 사물인터넷(IoT).. 2016. 12. 1. 나노기술이 낳은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나노기술이 낳은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아이언맨의 슈트를 실제로 만들 수 있을까? 나노기술은 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반도체나 의류 등에서 이전에의 소재들과는 달리 최근 탄소 소재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탄소 소재는 대부분 탄소로만 구성된 소재로 그래핀, 탄소섬유, 탄소 나노 튜브 등이 있으며 이들은 초경량, 초고온성, 초내마모성, 초전도성의 극성 물성을 가지며 차세대 고부가가치 첨단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탄소나노튜브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이전에의 기술을 넘어선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1_출처: 한국화학연구원] [2_출처: 한화케미칼_http://www.chemidream.com/]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란 탄소.. 2016. 8. 31. 이전 1 ··· 57 58 59 60 61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