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28

안티 - ESG, 글로벌 불확실성에 고개를 들다. 안티 - ESG, 글로벌 불확실성에 고개를 들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김승진  ESG, ‘팬데믹’ 날개를 달고 비상하다 [자료 1. ESG의 개략도] 출처 : 전기신문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인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각 영어의 첫 알파벳을 딴 어로 지난 2004년 국제연합(UN)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됐다. [자료 2. 블랙록 래리 핑크 회장의 2020 연례 서한 내용] 출처 : 대웅제약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시장을 지배해온 이 단어는 미국 3대 자산 운용사 중 하나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2020년 언급한 투자 원칙에서 시작되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에 따라 투자 방침을 결정하겠다는.. 2024. 11. 20.
수전해의 현재와 미래 수전해의 현재와 미래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이동주 수전해: 그린 수소 생산의 미래수소는 자연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다른 원소들과 결합해 화합물 형태로 존재한다.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려면 다양한 생산 과정을 거쳐야 한다. 수소 생산 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석유화학 공정 및 철강 제조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 두 번째는 천연가스를 고온, 고압에서 분해하는 개질수소, 세 번째는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이 있다. 이 중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인 수전해란, 태양광, 풍력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를 통해 물을 전기분해해 얻는 수소로, 수소 추출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이 없으므로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수전해.. 2024. 11. 19.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①전력계통 사고편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①전력계통 사고편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본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 퍼즐' 시리즈는 전력 분야와 관련된 기초적인 개념에 대해 다룬다.해당 시리즈의 첫번째 기사는 '전력계통 사고'이다.국내외 전력계통 사고 사례 및 원인, 대응조치에 대해 살펴보고,재생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계통 사고와 어떤 연관이 있을지 알아보자. 전력계통 사고란 무엇인가?[자료 1. 2003년 미국, 캐나다 북동부 정전 피해지역]출처 : 전력거래소전력계통 사고란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로 등에서 고장이나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되거나 불안정해지는 상황을 의미한다. 사고의 원인은 선로의 절연이 파괴된 것으로, 선로에 직접 번개가 치거나 바람에 의해 선로 간 단락되는 등이 있다.. 2024. 11. 19.
탄소 포집의 새로운 시대, COF-999 탄소 포집의 새로운 시대, COF-999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배현지 탄소 먹는 노란 가루2024년 10월 23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탄소 포집의 신소재 개발에 관한 논문이 발표됐다. UC 버클리의 오마르 야기(Omar Yaghi) 교수와 그의 연구팀이 개발한 노란 가루 형태의 COF-999은 대기 중 탄소 포집 기술 분야에서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1년 동안 250g의 COF-999로 20kg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자료 1. COF-999 모습 ]출처 : THE DAILY CALIFORNIAN공기 중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하는 것은 기후 변화 해결과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다. 현재 탄소 포집 기술은 발전소처럼 탄소가 집.. 2024. 11. 16.
[2024 GreenEnerTEC 후기] 강해지는 규제에 대항할 (주) 케이리사이클링 강해지는 규제에 대항할 (주) 케이리사이클링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자료 1. (주) 케이리사이클링 부스의 모습]출처 : ⓒ 23기 김태현 유럽의 강해지는 규제는 플라스틱도 피할 수 없었다. EU는 203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용기에 PCR 플라스틱을 30% 이상 포함하도록 의무화했다. 미국도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 30% 이상 PCR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법률을 논의하고 있다고 한다. PCR 플라스틱이란, 소비자가 사용하고 폐기한 플라스틱을 재활용해서 사용하는 플라스틱이다. 그러나 이런 규제의 확대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PCR 플라스틱 발전이 더딘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 케이리사이클링은 PCR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있다.[자료 2. (주) 케이리사이클링의 팰렛과 필름]출.. 2024. 11. 11.
[2024 GreenEnerTEC 후기] 지속가능한 건설을 위한 공급망 실사와 ESG 평가 [2024 GreenEnerTEC 후기] 지속가능한 건설을 위한 공급망 실사와 ESG 평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노정연 건설산업을 중심으로 바라본 공급망 실사와 ESG 평가[자료 1. 그린에너텍 ESG 컨퍼런스 프로그램 안내]출처 :  ⓒ 25기 노정연2024년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3일 간 2024 그린에너텍(GreenEnerTech)에서 ESG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기후변화에 맞선 우리의 길"이라는 슬로건 아래 기후 변화에 맞선 건설산업, 기후 관련 공시 규제 동향, 공급망 실사법, ESG 평가, ISO 인증 등을 다룬 컨퍼런스이다. [자료 2. 그린에너텍 ESG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공급망 실사와 ESG 평가 - 건설산업을 중심으로']출처 :  ⓒ 25기 노정연본 행사에서는 ‘.. 2024. 11. 11.
[2024 GreenEnerTEC 후기] EPiT 주름백으로 설비 효율도 잡고 대기오염도 잡고 EPiT 주름백으로 설비 효율도 잡고 대기오염도 잡고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변지원 (주)이피아이티(EPiT)는 2000년 설립이 되어, 대기환경분야 설비인 전기집진기 및 여과집진기를 설계부터 시공까지 수행하는 대기환경 전문설비기업이다.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전기집진기의 핵심 부품인 방전극 및 집진극, 추타장치를 국산화해 자체 생산했으며, 특히 필터백을 자체 개발해 생산 공급하고 있다. [자료 1. 필터백 비교 모습]출처 : ⓒ 24기 변지원EPiT는 이번 행사에서 자사가 개발한 ‘EPit 주름백’을 공개했다. EPiT 주름백은 여과집진기의 내부 필터백으로, 기존 제품보다 2~3배 더 확장 가능해 고효율의 집진 성능을 제공한다.산업용 설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분진 배출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려.. 2024. 11. 11.
[2024 GreenEnerTEC 후기] 도원바이오테크, 파이토 플라스틱을 선도하다 [2024 GreenEnerTEC 후기] 도원바이오테크, 파이토 플라스틱을 선도하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배장민 [도원바이오테크 소개]도원바이오테크는 2015년 2월부터 생분해성 수지(PLA, Poly Lactic Acid)를 응용한 플라스틱 용기, 애견용수목장 및 봉안함, 나노 셀룰로오스 원료를 도입한 Nano PLA 연구 개발, 생분해성 빨대 물성개발 및 완제품 개발완료 등 생분해성 원료 제조 전문기업이다. 잘먹고 잘사는 법은 나아가 환경을 생각하고 더불어 사는 것이며, 자연에서 자연으로 돌아가도록 지구의 환경을 지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친환경제품, 에코제품, 유아제품, 생분해성 일회용품 등을 연구하고 있다.[자료 1. 도원바이오테크 부스 전경 ]출처 : ⓒ 24기 배장민[파이토플라스틱과 Nan.. 2024.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