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1

치고!달려라! 야구의 녹색 물결 치고!달려라! 야구의 녹색 물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재욱, 한예림, 23기 김태현 [언제나 뜨거운 야구 열기, 그러나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9회 말 이사 만루입니다. 이제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습니다. 타석에 OOO 선수입니다.”“때렸습니다! 이 타구는 담장~ 넘어갑니다! OOO의 끝내기가 터집니다!”뜨거운 함성과 함께 일어나는 파도의 물결. 쉬지 않는 응원가와 음식을 먹으며 경기를 즐기는 낭만. 이것이 야구의 묘미이다. 특히 가정의 달인 5월은 1년 중 가장 많은 관중이 오고 가장 많은 매진 기록을 세우는 달이기도 하다. 수많은 사람들이 각지에서 야구장으로 모여 먹고 마시고 즐기며 열띠게 응원하는 가장 푸르른 달이다.[자료 1. 5월 13일 잠실야구장 경기 종료 후의 쓰레기]출처 : .. 2023. 5. 30.
작은 용기 하나로 배터리를 재활용하다! 작은 용기 하나로 배터리를 재활용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23기 김태현, 송태현 해마다 늘어나는 폐배터리만들어진 직후 사용하지 않으면 에너지가 버려지는 세상이 있다. 극단적인 상황일 수 있지만, 배터리가 없던 시절 우리는 이와 비슷한 세상에 살고 있었다. 전자 기기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배터리가 없는 세상은 이런 비효율성에서 상상하기도 싫은 세상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중요성으로 인해 배터리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글로벌 배터리 점유율 Top 10에 속하는 기업이 세 곳이나 있고 비중국 배터리 시장에서는 1위가 한국 기업인 만큼 배터리 산업이 많이 발달한 상태이다. 이처럼 국내외 배터리의 수요 및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자료 1. 해마다 증.. 2023. 5. 29.
[202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후기] MZ세대 대표로 부스를 운영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2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후기] MZ세대 대표로 부스를 운영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이 지난 2023년 4월 12일부터 4월 14일까지 대구 EXCO에서 열린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 방문했습니다.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2004년부터 매년 개최된 국내 최대의 신재생에너지 전문 전시회로, 올해 20번째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개최되었습니다. 202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서는 태양광, ESS(Energy Storage System), 스마트 그리드, 해상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업이 다양한 종류의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투명 태양광이나 컬러 태양광 등 해당 기업만의 특색 있는 제품을 눈으로 보며 기업 관계자의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 2023. 4. 29.
[202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LONGi [202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LONGi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김혜윤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LONGI Green Energy Technology는 중국 태양광 회사로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회사이다. 2000년 2월 14일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산시성 시안에 있다.LONGI는 크게 3가지 분야에서 솔루션을 연구하며 진행 중이다.- 전력 솔루션LONGI는 전력사업을 도와 통합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솔루션을 진행중이며 전력 솔루션에 해당하는 사례는 다음의 3가지이다.1) 친화형 태양광 발전소 솔루션전력망 친화형, 친환경형, 시스템 친화형, 수익 친화형의 “4친화형” 발전소를 말한다. 설치 장소에 다라 대형 수평 지대, 일반 산.. 2023. 4. 7.
에너지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요? 버려지는 것에 생명을 불어넣는 ‘에너지 하베스팅’ 에너지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요? 버려지는 것에 생명을 불어넣는 ‘에너지 하베스팅’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한예림, 23기 김용대, 김태현, 송태현 버려지는 에너지를 찾아라, 에너지 하베스팅[자료 1. 에너지 하베스팅에 이용되는 에너지] 출처: 에듀넷∙티-클리어버려지는 에너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 질문에서 나온 것이 바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다.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생활과 산업 속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들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현재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지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이 보통 38% 정도에 그치고 나머지 62%는 기계적인 마찰, 배기와 냉각 장치로 인해 모두 손실된다. 송전.. 2023. 3. 17.
태양광 발전 효율 50%가 머지않았다: 탠덤 태양전지 태양광 발전 효율 50%가 머지않았다: 탠덤 태양전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쉽게 올라가지 않는 태양전지의 효율]태양광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요소로,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50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해야 하는데, 최근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기 박막 태양전지, 양자점 태양전지 등 다양한 태양전지를 연구하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큰 노력을 하고 있지만, 다양한 제약 조건으로 인해 태양전지의 효율의 향상 속도는 매우 더딘 실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율이 거의 50%에 달하는 태양전지가 등장했는데, 이것이 바로 탠덤 태양전지(다중 접합 태양전지)이다.[자료 1. 한국의 에너지원별 발.. 2023. 3. 15.
골칫덩이 폐수, 그린 암모니아로 재탄생한다고? 골칫덩이 폐수, 그린 암모니아로 재탄생한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채윤, 박도현, 23기 김서정, 김태현 [ 3월 22일, 물의 날을 맞이하며 ][자료1. 세계 물의 날] 출처: LG케미토피아유엔(UN)은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지난 1992년 제47차 총회에서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선포했다. 우리나라도 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1995년부터 정부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이렇듯 수자원 보호에 대한 세계의 관심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최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개발한 '폐수와 햇빛을 이용한 암모니아 생산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그린 암모니아가 필요한 이유와 현재의 암모니아 생성 방식 ]현대 사회에서 탄소 문..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