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1706

친환경 여행, 당신의 휴가는 지구에게도 친환경 여행, 당신의 휴가는 지구에게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채윤 [ 답답한 이곳을 벗어나기만 하면? ]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올겨울 여행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항공권 판매 업계인 ‘인터파크’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4분기부터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하여 전년 대비 232%의 항공권 판매액을 기록했을 정도이다. 지난 2년간의 침체된 분위기에 대한 보상심리와 힐링을 위해 떠나는 우리들의 여행. 필자는 인천국제공항의 날아오르는 비행기들을 보면서, 설레는 마음과 함께 의문을 가졌다. 우리의 여행길은 지구에게도 힐링일까. 여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과 그것을 해결하려는 각종 노력 및 한계,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저 오늘 떠나요, 공항으로 .. 2023. 3. 6.
주문하신 친환경 배달 왔습니다~ 주문하신 친환경 배달 왔습니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길민석, 김수현, 홍서현, 23기 진희윤, 차승연 배달의 시대, 편하긴 한데... 환경은?코로나19로 국내는 물론 세계 경제에 비상신호가 켜졌지만, 그중에서도 뜻하지 않은 수혜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업계가 존재했다. 바로 음식 배달 서비스 업계다. 통계청의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2021년 음식 배달 시장 규모는 25조6783억 원이다. 2019년(9조7365억 원)과 비교하면 2.6배 이상 커졌다. 특히 모바일을 통한 거래액이 24조9882억 원을 차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거리 두기로 인해 배달 앱을 통한 주문량이 폭발적으로 늘었고, 관련 시장이 확대됐다는 뜻이다. 모바일 음식 배달 시장 거래액은 가전이나 식품.. 2023. 3. 6.
트렌드에 맞게 변화하는 ESG, 이제는 필수로! 트렌드에 맞게 변화하는 ESG, 이제는 필수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유현서, 23기 김경훈, 안윤아 [ESG의 등장] ESG는 잘 알다시피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를 뜻하는 말이다. 최근 들어 여러 분야에서 언급돼 익숙해진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서부터 시작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핵심 가치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묶어서 말하게 된 것이 바로 ESG이다. [자료 1. 지속가능경영 의미] 출처 : KRX ESG포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용어는 1713년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개념은 1987년 UN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 2023. 3. 6.
Hi ChatGPT, 지구는 언제 멸망해? Hi ChatGPT, 지구는 언제 멸망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장세희, 22기 이지원, 정의희, 23기 신지연 Hello ChatGPT [자료 1. ChatGPT] 출처 : Jim Clyde Monge, Medium "구글의 시대는 끝났다." 출시 두 달 만에 누적 사용자 1억 명, 일 사용자 1,300만을 기록한 ChatGPT는 인공지능연구소 ‘OpenAI’가 개발한 ‘AI 챗봇'이다. ChatGPT는 질문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사람의 언어로 대화하며 답을 주는 대화형 메신저로 훈련된 자연 언어 처리 모델이다. OpenAI에서 만든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인 ‘GPT-3.5’ 언어 기술을 사용하여 이용자와 실시간으로 대화가 가능하다. 자연어 인공지능은 자료 수집, 정리,.. 2023. 3. 6.
해동시키지 마세요, 냉동 바이러스 해동시키지 마세요, 냉동 바이러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황지영, 22기 박재욱, 22기 한예림, 23기 송시원 전 세계에서 ‘빙하 장례식’이 치러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사라지는 빙하에 대해 애도하는 것이다. 아이슬란드 최초의 빙하인 오크외쿨, 스위스 피졸 빙하, 클라크 빙하 등 벌써 여러 차례 대규모 빙하들이 녹으면서 장례 의식이 이루어졌다. 이것은 사라지는 빙하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한다. 극지방의 빙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빠르게 녹고 있어 그 진행 속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연필 모양의 남극 탐사 로봇인 ‘아이스핀’으로 스웨이트 빙하를 관측했다. 스웨이트 빙하는 남극에서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빙하이며, 녹을 때 해수면의 빠른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이스핀 로봇은 .. 2023. 3. 6.
지구를 위한 옷은 없다? 지구를 위한 옷은 없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최정우 유행 따라 빠르게 이루어지는 생산과 소비 계절에 앞서 옷을 만드는 방식에서 벗어나 유행에 맞춰 옷을 바로바로 만들어내는 ‘자가상표부착제 유통방식’, 즉 SPA 브랜드가 패션 산업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생산에서 유통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에 최신 유행을 반영한 상품을 빠르게 공급해 상품 회전율이 빠르므로 ‘패스트 패션’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ZARA, 유니클로, 포에버21, GAP, H&M 등이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이다. [자료 1. 패스트 패션 브랜드] 출처 : BBC NEWS 코리아 일반적인 의류 브랜드들은 계절의 변화에 맞춰서 신상품을 출시한다. 시즌에 맞춰 1년에 4번 상품을 교체하여 판매 .. 2023. 2. 20.
환경을 위하면 나에게 캐시백이? 환경을 위하면 나에게 캐시백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김수현, 박도현 최근 뉴스에서는 예상보다 훨씬 높은 도시가스 요금에 탄식을 내뱉는 사람들의 모습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겨울이라는 계절의 특성 상 한파로 인해 도시가스 요금이 타 계절에 비해 많이 나왔던 것은 물론, 2021년부터 2022년에 걸친 국제 LNG 가격 상승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까지 발발한 결과가 바로 이번 요금 청구서이다. 게다가 한국가스공사에는 미수금이 지속적으로 누적되면서 부채도 쌓였다고 한다. 이런 상황들이 겹치고 겹쳐서 어쩔 수 없이 인상하게 되었다는 상황에서 도시가스비 인상과 함께 곧 전기세도 인상한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다. 도시가스비 폭탄으로 인한 걱정과 불만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도시가스와 전기세를 절약하고.. 2023. 2. 20.
기후악당이라 불리는 한국, 이제는 적극적인 대응을! 기후악당이라 불리는 한국, 이제는 적극적인 대응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유현서 서론) 기후변화 심각성 인지 상황 우리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얼마나 인지하고 있을까? 심각하다고는 알고 있지만 정확한 수치로는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또한 알고 있어도 대응해야 할 방도를 찾지 못해 무관심하게 두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자료1. 세계경제포럼 상위 10대 글로벌 리스크] 출처: 세계경제포럼 위의 자료는 세계경제포럼의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로, 향후 10년간 인류에게 다가올 위험요인 1위는 기후위기, 2위는 기후 위기 대응 실패라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은 기후위기에 잘 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미래의 지구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온난화 시나리오를 .. 2023.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