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84

볏짚과 해조류로 만든 전기, 지속가능한 미래의 열쇠 볏짚과 해조류로 만든 전기, 지속가능한 미래의 열쇠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김계환 바이오매스 발전이 필요한 대한민국우리나라는 좁은 대지 면적과 더불어 자원이 적은 나라로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다. 특히 석유와 가스는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전쟁이나 재해, 공급망 갈등으로 수입이 불가능할 경우 에너지 고갈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에너지 자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료 1. 1990년~2023년 에너지 수입의존도]출처 : 에너지경제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에너지원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국내의 주력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와 풍력에너지를 사용.. 2025. 6. 25.
[취재] 신문지의 여행, 아프리카까지? [취재] 신문지의 여행, 아프리카까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해원 동부 아프리카의 포장재, 신문지동부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거리를 걷다 보면, 놀랍게도 한국어를 다분히 찾아볼 수 있다. 가게마다 한국의 신문지가 널려있고, 거리의 사람들은 한국의 신문지를 들고 다닌다. 이 신문지는 사용되지 않은 새 인쇄물이다. 즉, 인쇄 후에 즉시 아프리카로 수출된다. 아프리카의 사람들은 새 신문지를 포장재로, 돗자리로, 종이 가방으로 이용하며 한국어가 쓰인, 한국의 거리 모습이 담겨 있는 한국의 신문은 아프리카인의 일상에 스며들었다. 그렇다면 사용하지도 않은 수많은 한국의 신문지가 태평양 너머의 아프리카까지 오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자료 1. 탄자니아 빵집의 한국 신문지]출처 : ⓒ25기 김해원 지구.. 2025. 6. 25.
탄소중립의 첫걸음, 수도권 매립지 해법은? 탄소중립의 첫걸음, 수도권 매립지 해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윤민서 [자료 1. 수도권매립지의 모습]출처: 한국경제수도권의 거대한 쓰레기 집하장, 인천 서구 수도권 매립지. 이곳은 1992년부터 서울·경기·인천 3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운영해온 수도권의 마지막 쓰레기 종착지다. 2025년 8월, 현 제3매립장의 운영 종료 시한이 다가오면서 수도권 매립지의 미래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되고 있다.표면적으로는 지자체 간의 입장 차이와 지역 이기주의 갈등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문제를 단지 ‘쓰레기 처리장 이전’의 관점만으로 보기엔 무언가 빠져 있다. 바로 탄소중립이다. 이제 수도권 매립지 문제는 ‘기후위기 시대의 폐기물 정책’이라는 거시적 프레임에서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 매립지와 온실가스, 보이지.. 2025. 6. 25.
덜 남기는 주행을 위해: 타이어의 재설계 덜 남기는 주행을 위해: 타이어의 재설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이희원 도로 위의 미세먼지, 그 출처는 타이어였다자동차 배출가스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늘에 가려져 있던 또 다른 오염원이 있다. 바로 타이어 마모에서 발생하는 미세 고무 분진이다. 서울의 연간 미세먼지 발생량 가운데 타이어 마모에 의한 분진이 약 3,900톤으로, 전체의 13%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이어가 단순한 소모품을 넘어 대기오염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자동차가 멈추지 않는 한, 타이어는 계속 닳고 그만큼 보이지 않는 먼지가 공기 중에 퍼져나간다.이러한 고무 분진은 ‘비배출 미세먼지(non-exhaust emissions)’로 분류되며, 흡입 시 인체 건강에 .. 2025. 6. 25.
기후위기 시대, 문학이 나아가야 할 길 기후위기 시대, 문학이 나아가야 할 길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이서진 기후 소설이 많아진 문학 시장 판타지 소설, 추리 소설, 로맨스 소설. ‘소설’이라는 단어 앞에 장르가 붙는 것이 어색하지 않을 만큼 다양한 장르 소설이 우리의 서재를 채우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기후 소설’이 우리 앞에 나타났다. 기후위기 담론이 그러하듯, 역사적으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한 영미권에서 이런 흐름이 시작됐다. 영국의 지넷 윈터슨이 쓴 (The Stone Gods, 2007년, 국내 미출간)은 기후변화로 고통받는, 지구와 흡사한 가상 행성 ‘오버스’(Orbus)를 다룬다. 역시 영국의 이언 매큐언이 쓴 (2010년, 2018년 국내 출간)는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책을 발견한 물리학자가 주인공이다. 미국의 소설가.. 2025. 6. 23.
[신입기수 모집]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8기 단원을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장 김경훈입니다.2025년 8월부터 1년간 우리 기자단과 함께 활동 할 28기 단원을 모집합니다.전공과 지역, 연령과 무관하게 신재생에너지 및 지속가능한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있는 대학(원)생 누구나 지원 가능합니다.아래 첨부된 지원서류 양식을 작성하여 ref2025ref@gmail.com으로 접수해주시면 됩니다.문의사항 있으신 분은 공식메일 ref2025ref@gmail.com 또는 인스타그램 @ref_stagram 으로 문의주시면 답장드리겠습니다. [서류접수] 2025.06.23(월) ~ 2025.07.06(일) 23:59[1차 합격자 발표] 2025.07.14(월) 오전 10시 홈페이지 (대신기 공식 티스토리) 게시[1차 합격자 면접] 2025.07.19(.. 2025. 6. 22.
모듈러 주택, 탄소중립 시대의 유망한 주거 모델인가 모듈러 주택, 탄소중립 시대의 유망한 주거 모델인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함예림 모듈러 주택, 주거와 기후 위기의 해법[자료 1. 경북 안동에서 모듈러 하우스를 짓고 있는 건설 현장]출처: 스카이데일리서울 성북구와 인천 서구에서 공공임대주택 건설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2023년부터 추진 중인 모듈러 공법 기반 공공임대주택 시범사업의 결실이다. 이 사업은 2022년 발표된 ‘주택 250만호 공급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연간 3,000호 규모의 모듈러 주택을 공급하며 2030년까지 공공·민간 부문에서 누적 3만호 공급 기반을 마련하려는 목표를 세웠다. 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구조체를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주거 부족과 기후 위기라는 이중 과제를 해결할 유망한 대안으.. 2025. 6. 20.
정보도, 기후도 빠져나간 유심 해킹 정보도, 기후도 빠져나간 유심 해킹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김태현, 27기 박희원 나라를 뒤집은 유심 해킹 사건[자료 1. 유심 해킹 사태는 큰 파급력을 불러일으켰다]출처: 동아일보최근 가장 화제가 되는 사건을 뽑으라면 바로 ‘SKT 유심 해킹 사건’이다. 2025년 4월 18일, SKT의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가 해킹당했다. 2020년대에 다른 통신사에서 여러 정보가 유출된 적이 있었지만, 이번 사건은 더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바로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고 관리하는 HSS가 해킹당했기 때문이다. HSS는 단말기 인증 관리, 데이터 저장, 통신망 접속 제어 및 중개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 HSS는 통신망의 전반적인 부분을 통제하기.. 2025. 5. 27.